[알쓸신잡] Web Font
Web Font?
웹폰트는 폰트 파일을 서버에 올리고 이를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해서 적용하는 방식을 말해요.
기존 나의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만 보이던 방식과 달리
해당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그럼 폰트에 대한 기본 지식만 좀 짚고 넘어가도록 해요.
Font types
Serif
가로 세로 획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에 굵기가 변화하거나 군더더기 장식이 있는 글꼴을 말해요.
명조 폰트(바탕체)들이 대표적이에요.
나눔명조, 서울한강체 … 등이 있어요.
Sans Serif
획의 시작부터 끝까지 굵기가 변하지 않는 글꼴을 말해요.
고딕 폰트(돋움체)들이 대표적이에요.
나눔고딕, Apple SD 고딕 … 등이 있어요.
Serif
vsSans Serif
Monospace
각 글자의 너비가 동일한 글꼴을 말해요. 컴퓨터시스템에 많이 쓰입니다.
개발용 폰트들이 대표적이에요.
Courier, Hack, D2Coding … 등이 있어요.
Monospace vs Proportion 비교 1
Monospace vs Proportion 비교 2
![]()
Fig. 4: Monospace(아래) 와 Proportion(위) 비교
위에 이녀석들만 있는게 아니라 훠얼씬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녀석만 적었어요.
How to use
기본
* { |
그냥 이렇게 font-family 에 폰트 이름을 선언해 주면 되요.
CDN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을 이용하여 폰트를 보다 빠르게 불러와 적용할 수 있어요.
무료 서비스로는 대표적으로 구글 폰트가 있어요.
한글 폰트는 눈누 도 있어요.
참고로 CDN 방식이 젤루 편함
그런데 갓글에 모든 폰트가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가 않죠.
그래서 직접 폰트 파일을 import 를 해야 할 때가 옵니다.
폰트 파일
위의 기본 부분 보면 폰트 여러개를 굳이 묶어서 차례대로 선언했어요.
Why?
지원하는 언어가 달라요.
- 영어만 지원하는 폰트가 있고, 한글만 지원하는 폰트 등 각 언어, 문자별 지원 범위가 달라요.
시스템에 따라 지원하는 타입이 다르다.
- 운영체제별, 브라우저별 지원 타입이 다양합니다. 이 부분은 바로 자세히 알아봅시다요.
이러한 이유로 font 를 여러개 순서대로 선언해서 지원하지 않으면 다음 선언, 다음 선언 …
마지막에는 보통 시스템 폰트들을 선언해요. 못 불러올 수 가 없습니다. 공통이니까요. 🤩🤙🏻
자 그럼 이제 다양한 font format 에 대해 알아봅시다요.
Font Format
TTF (True Type Font)
보통 제일 많이 보셨을 포맷이에요. 대충 뭐 다운받으면 다 ttf 에요.
Apple 이랑 MS가 함께 만든 포맷이에요.
특이한 점은
bold,italic을 다른 파일로 취급합니다.문서작업에 주로 쓰여요.
EOT (Embedded Open Type)
MS가 만든 포맷이에요.
ie8 이하 버전은 얘만 인식 되요. ie9 부터는 WOFF를 지원해요.
아직도 ie8 이하 많을라나 ...🤔compatibility
IE 6+ …
WOFF (Web Open Font Format)
Mozila가 이름 그대로 웹을 위해 만든 포맷이에요.
빠릅니다.
compatibility
IE 9+, Chrome 5+, Fire fox 3.6+, Safari 5.1+, Opera 11.1+
WOFF 2.0 (Web Open Font Format 2.0)
WOFF 폰트를 더 압축해서 다이어트 시킨 녀석입니다. 다이어트라니 마냥 좋을거 같지만
나름 최신이라 아직 브라우저 별 대응이 미흡합니다.
compatibility
Chrome 36.0+, Fire fox 35.0*, Opera 26.0+
그럼 이 아이들을 어떻게 잘 사용할수 있을까요?
바로 최적의 적용 순서를 알아봅시다.
Assign Order
간단합니다.
바로 빠르면서 지원이 많은 것 순으로 적용하면 됩니다.
WOFF 2.0 을 적용해요.
지원 하지 않으면 WOFF 를 적용합니다.
여기서 아마 대부분 지원 될거에요.근데도 안된다? TTF를 적용해요.
또 안된다? 진짜 마지막으로 EOT 를 적용합니다.
WOFF 2.0 -> WOFF -> TTF -> EOT
적용법은 아래 처럼 하면 됩니다.
예시는 한글누리 폰트를 사용해요.
@font-face { |
주의사항 💡
폰트 마구마구 쓰면 웹 사이트가 무거워져 많이 힘들어 하니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저작권 잘 알아봐야 합니다. 어느 범위까지 허용되는지
또 뭐가 있을텐데…
또 정보들이 있으면 추가 해야겠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